암 진단을 받으면 가장 먼저 궁금해지는 것이 바로 ‘몇 기인가요?’라는 질문이죠. 암의 병기(進行段階)는 치료 방법과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암의 병기 구분, 진행속도, 생존율, 그리고 진단기준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암 병기란 무엇인가요?
암의 병기란 암이 얼마나 퍼졌는지를 나타내는 단계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1기부터 4기까지로 구분되며, 숫자가 클수록 암이 더 진행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 1기: 암이 원발 부위에만 존재하며, 크기가 작고 전이가 없는 상태
- 2기: 암이 주변 조직으로 퍼지기 시작한 상태
- 3기: 암이 림프절 등 인접한 구조물로 확산된 상태
- 4기: 암이 다른 장기나 부위로 전이된 상태
이러한 병기 구분은 치료 방법 선택과 예후 예측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암의 진행단계와 속도
암의 진행속도는 암의 종류와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조기 발견된 암은 진행속도가 느리고, 말기 암은 빠르게 진행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갑상선암은 비교적 진행이 느린 반면, 췌장암은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암 병기 구분 방법: TNM 분류법
암의 병기를 구분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TNM 분류법입니다.
- T (Tumor): 원발 종양의 크기와 침윤 정도
- N (Node): 림프절 전이 여부
- M (Metastasis): 원격 전이 여부
이 세 가지 요소를 조합하여 암의 병기를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T1N0M0는 작은 크기의 종양이 림프절이나 다른 부위로 전이되지 않은 초기 암을 의미합니다.

암 병기별 5년 생존율
암의 병기에 따라 5년 생존율이 크게 달라집니다. 아래는 주요 암종에 대한 병기별 5년 상대 생존율입니다.
- 갑상선암:
- 국한: 100.7%
- 국소 진행: 100.3%
- 원격 전이: 63.7%
- 유방암:
- 국한: 99.1%
- 국소 진행: 93.0%
- 원격 전이: 49.0%
- 폐암:
- 국한: 79.8%
- 국소 진행: 50.4%
- 원격 전이: 12.9%
- 췌장암:
- 국한: 46.6%
- 국소 진행: 22.9%
- 원격 전이: 2.6%
출처: 국가암정보센터 요약병기별 생존율 통계 (2018–2022)
국가암정보센터
국가암정보센터
www.cancer.go.kr
이처럼 조기 발견이 생존율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암 진단기준과 검사 방법
암의 병기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다양한 검사가 시행됩니다.
- 영상 검사: CT, MRI, PET 등으로 종양의 크기와 위치를 확인
- 조직 검사: 암세포의 종류와 특성을 파악
- 혈액 검사: 종양 표지자 등을 통해 암의 존재 여부를 확인
이러한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암의 병기를 결정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마무리
암은 조기 발견과 정확한 병기 판단이 치료 성공의 열쇠입니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이상 증상에 대한 빠른 대응이 중요합니다. 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정보는 예방과 치료에 큰 도움이 됩니다.
참고 자료:
리스테리아 식중독이란? 증상부터 예방법까지 완전 정리
냉장고에 보관한 식품에서 식중독균이 자란다고 하면 믿기 어렵겠지만, 실제로는 충분히 가능한 일입니다.특히 리스테리아균은 낮은 온도에서도 생존하며 번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25kimgun.tistory.com
봄철 불청객, 알레르기 결막염 증상부터 치료까지 정리
계절이 바뀌는 환절기나 꽃가루가 날리는 봄철이 되면 눈이 가렵고 충혈되는 증상을 겪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는 흔히 ‘알레르기 결막염’이라 불리는 눈의 알레르기 반응 때문입니다. 이 글
25kimgun.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