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은 팀이나 개인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제안하고 공유하는 기법입니다. 이는 1939년 광고 전문가 알렉스 오스본(Alex Osborn)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문제 해결이나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을 위해 널리 활용됩니다.
회사에 입사한 지 얼마 되지 않았다면 "선임 선배들이 회의는 브레인스토밍 기법으로 하자" 하면 무슨 말인지 모를 수도 있습니다. 이 포스팅을 읽으면서, 이런 것이 브레인스토밍이구나 정도는 알고 회의 진행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목차
브레인스토밍 기법과 진행 단계
브레인스토밍은 다음과 같은 기법과 단계로 진행됩니다.
기법
- 자유 연상: 어떤 아이디어든 자유롭게 떠올리는 방식입니다.
- 결합법: 기존 아이디어를 결합하거나 변형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듭니다.
- 질문법: 특정 질문을 통해 다양한 답변을 유도합니다.
진행 단계
- 목표 설정: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참여자들에게 공유합니다.
- 규칙 설명: 기본 규칙(예: 비판 금지, 양보다 질)을 설명합니다.
- 아이디어 생성: 모든 팀원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제안합니다.
- 아이디어 정리: 유사한 아이디어를 그룹화하고 우선순위를 매깁니다.
- 실행 계획 수립: 실행 가능한 계획을 세우고 역할을 분담합니다.
브레인스토밍의 원칙과 규칙
브레인스토밍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려면 다음 원칙과 규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원칙
- 비판 금지: 모든 아이디어를 수용하고 비판하지 않습니다.
- 자유분방: 어떤 아이디어든 자유롭게 제시할 수 있습니다.
- 양산: 많은 아이디어를 생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결합과 개선: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결합하거나 개선할 수 있습니다.
규칙
- 모든 의견 존중: 모든 팀원의 의견을 동등하게 대우합니다.
- 시간 제한: 일정 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아이디어를 제시합니다.
- 노트 필기: 아이디어를 기록하여 모두가 볼 수 있게 합니다.
브레인스토밍 회의의 장단점
장점
-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많이 나올 가능성이 높음
- 팀워크와 협업을 강화하는 효과
-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단점
- 아이디어가 현실적이지 않을 수 있음
- 특정 참가자가 주도권을 가질 가능성이 있음
- 효율적으로 진행되지 않으면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음
브레인스토밍 예시
예를 들어, "친환경적인 제품을 개발하려면?"이라는 주제로 브레인스토밍을 진행하면 다음과 같은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습니다.
- 재활용 가능한 포장재 사용
- 태양광 에너지를 활용한 제품
- 친환경 원료를 사용한 화장품
- 전기 사용량을 줄이는 가전제품
브레인스토밍과 마인드맵의 차이
브레인스토밍과 마인드맵은 창의적인 사고를 위한 도구이지만 차이점이 있습니다.
구분 | 브레인스토밍 | 마인드맵 |
목적 | 아이디어 창출 | 아이디어 구조화 |
방식 | 자유롭게 의견 개진 | 중심 개념에서 가지를 뻗어나가는 구조 |
활용 | 문제 해결, 기획, 토론 | 개념 정리, 학습, 전략 수립 |
브레인스토밍이 개방적인 아이디어 도출 과정이라면, 마인드맵은 아이디어를 논리적으로 정리하는 데 유용한 도구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마무리
이와 같이 브레인스토밍은 창의적 문제 해결을 위한 강력한 도구로,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팀원들은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사회에서는 이런 회의를 하는 회사가 몇이나 될지 의문입니다.